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의 어원과 부동산의 의미

부동산 이야기

by 여우소녀 2018. 11. 9. 11:33

본문

부동산은 흔히 움직이지 않는 동산? 으로 이해하기 쉽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있기도 하다 


민법상 물건의 정의는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민법 제98조)으로서, 이 물건의 범주안에 들어가는 것들 중,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부동산이라 하며(민법 제99조 제1항), 부동산이 아닌 물건은 동산이라 한다   - 민법상의 부동산 -


부동산은 부의 상징이자 신분을 나타내는뜻


부동산은 영어로 real estate 를 번역한 말이다. 여기서 " estate " 의 뜻은 재산 ,토지 , 단지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신분의 의미도 있다. 영어를 직역하자면 부동산은 " 진정한 신분 " 을 뜻하기도 한다. 토지를 갖고 있는 사람만이 움직일수 없는 부동의 진정한 신분이였다. 부동산과 연관되지 않는 사람의 신분은  " personal estate " 라고 했다. 이말은 동산이라고 번역되어 사용된다.


최초의 부동산투기는 로마시대


토지투기가 처음 생긴것은 로마시대로 알려져 있는데 기원 264 ~ 202 년 까지 포에니전쟁을 치루고 전쟁에서 승리한 하니발은 귀족과 군인에게 토지를 하사했다. 귀족은 토지투자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로마에서 여유로운생활을 했다고 한다.




토지투기가 불러온 공산주의


주택투기의 효시도 로마시대로 로마가 발전함에 따라 로마의 인구가 급증했다. 많은 토지를 소유한 귀족들은 로마에 2층 또는 3층의 연립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하여 주택투기가 성행했다. 이는 공산주의와 연관이 깊은관련이 있는데 수많은 농민이 도시로 몰려와 산업근로자가 되고 인구가 급증하니 주택이 부족하게 됐다. 마르크스는 런던 빈민가에 일어나고 있는 부동산투기의 실상과 근로자의 비참한 생활을 지켜보고 자본주의의 폐해를 지적하게 됬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부동산의 의미


부동산가격이 급등후 조정을 받는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가격은 거품이고 가격이 하락할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부동산을 연구하는 학자 또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경기하락시에 실물자산등의 하락으로 인해 큰 고통을 받는다면 부동산소유자들은 더욱 적은 충격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부동산의 생산을 위한 필요요소중의 하나로 없어서는 안될 자산이면서 자본적 성격을 갖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동산의 의미를 알고 현재와같이 부동산가격을 예측하기 힘들때 기본적인 부동산의 의미를 알고 대처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싶다. 


헨리조지의 저서 " 진보와 빈곤 " 중


" 토지의 경우는 노동처럼 굶는 일도 없고 자본처럼 가치가 줄어드는 일도 없다. 토지소유자는 얼마든지 기다릴수 있다. 물론 토지소유자도 불편을 겪기는 하겠지만 그들이 불편할정도이면 자본은 소멸되는 정도이고 노동자는 굶는 정도에 이른다. "


관련글 더보기